우리는 나보다 똑똑하다, 집단지성의 힘? 1910년 하버드 대학의 윌러엄 휠러 교수는 개미의 사회적 행동 관찰을 통해 ‘집단지성’이라는 개념을 발견했다. 하지만 이는 개념이 없었던 아주 먼 옛날에도 존재했으며, 현재 우리 주변에서도 …

For the solo, Of the solo, By the solo 혼자 살기 시작했다면, 지금 바로 ‘원플’
?나, 혼자 산다! 사람들의 웃음 코드는 그 시대의 일상을 반영한다. 한 개그 프로에서는 시청률의 상승을 위해 파격적인 내용의 각본을 써내 화제가 된 일명 ‘막장 드라마’를, 또 근래 우리 사회의 골칫거리인 …

날개 꺾인 온라인 서점을 살리는 새로운 시도 ‘속살 큐레이션’
날개 꺾인 온라인 서점 지난 25일 출판계에 길이 남을 사건이 발생했다. 문화체육관광부의 중재 아래 온·오프라인 서점 관계자, 책읽는사회문화재단 등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한 회의에서 책 할인 폭을 최대 15%로 하는 합의를 …

음악을 통해 엿보는 감정의 비즈니스, Mood Management Service
TV 속에서도, 나른한 오후의 피로를 씻으려 찾은 카페에서도, 길을 걷는 행인의 귀에 꽂힌 이어폰에서도 우리는 일상생활 속 언제든 음악과 함께 살아간다. 음악이 없는 삶은 앙꼬 빠진 찐빵처럼 공허하며, 귓속을 간질이는 …

삶을 윤기있게 만드는 그들만의 방법, Late Bird족
취미란, 즐거움을 얻기 위해 좋아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. 그 기원을 올라가다보면, 금욕을 강조한 중세 유럽에서도 취미는 있었고, 일을 위한 일터와 휴식을 위한 집터의 구분이 생기기 시작한 산업화 과정에서도 …